이전에 캔들 분석과 호가창 분석에 대해 정리해 두었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이동평균선을 이용해서 지지대와 저항 자리를 찾아 +거래량을 지표로 삼아 매매하는 것을 가장 선호합니다.
이번엔 이동평균선의 개념과 활용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이동평균선이란
기준이 되는 특정 기간동안 평균 가격을 이어서 나타낸 선이다. 줄여서 이평선 이라고 통용해서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에서는 5 / 10 / 20 / 60 / 120 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코인은 주식과 달리 연중무휴 24시간 장이 열려있기 때문에 7 / 14 / 60 / 120 으로 설정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동평균선의 종류
단기 이평선
5일 / 10일 / 20일
- 투자자들의 심리를 나타내는 심리선의 역할
중기 이평선
60일
- 추세전환 파악을 할 수 있는 수급선의 역할
장기 이평선
120일 / 200일 / 240일
- 하향추세의 첫 지지선, 경기선의 역할
이동평균선의 활용
골드크로스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아래에서 위로 상승 돌파하는 시점
보통 상승추세 전환의 신호가 됩니다.
데드크로스
단기 이평선이 중/장기 이평선을 위에서 아래로 하락 돌파하는 시점
보통 하락추세 전환의 신호가 됩니다.
저항 자리
캔들이 이평선에 저항을 맞고 쉽게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하는 자리
지지대
캔들이 이평선을 지지대로 삼아 추가 하락보단 다시 위로 반등하도록 지지하는 자리
이평선의 정배열
이동평균선이 단기 -> 장기 순서대로 오름차순(위에서부터 내려오는) 배열을 정배열이라고 부릅니다.(역배열은 반대)
정배열의 형태를 초기에 감지했다면,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해당 종목을 매수하는 것이 좋은 매매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차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가창(feat.체결강도) (4) | 2022.09.26 |
---|---|
캔들(봉) 차트 (0)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