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트코인 분석] 이더리움 코인 전망 호재 악재 [알트코인 분석] 이더리움 코인 전망 호재 악재](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코인 시장은 기존 주식 시장보다도 호재와 악재같은 소식에 대해 가격 반영이 매우 빠르고 변동폭이 큽니다. 그만큼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본인이 투자하려는 코인에 대한 최소한의 분석과 정보 파악이 필수입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비트코인 다음으로 차세대 대장 코인으로 주목받는 이더리움 코인의 전망과 시세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이더리움은 지난 2년 전부터 기존 POW 채굴방식에서 POS로의 전환을 위해 개발에 착수했고, 2022년 9월 16일 머지 업데이트를 통해 전환을 완료했습니다. ‘머지 업데이트’는 지분 보유량에 비례해 블록 생성 권한을 부여받고 그 대가로 토큰을 보상받는 식입니다. 누구든 네트워크의 암호화폐만 있다면 ID를 만들 수 있고 블록을 생성할 권한은 자신의 ID에 연결된 지분의 양으로 결정됩니다.
이 방식은 작업증명이 컴퓨팅 파워 낭비 문제를 발생시킨다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폐를 보유한 지분에 따라 채굴에 성공할 확률이 결정됩니다. 이더리움에 따르면 머지 후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비량은 기존보다 99.95% 줄어들고, 일정 수량의 코인을 가지고만 있다면 채굴에 참여할 수 있기에 거래 처리 속도가 빨라집니다.
다른 알트코인들과의 디커플링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09080928B
"이더리움, 머지 이후 나머지 코인들과 디커플링 전망"
"이더리움, 머지 이후 나머지 코인들과 디커플링 전망", 뉴스...
www.hankyung.com
위 기사를 보시면 아래 내용이 나옵니다.
8일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체이널리시스는 보고서를 통해 "이더리움이 머지 이후 다른 가상자산과 분리될 수 있으며 높아진 지분 수익률은 잠재적으로 기관들의 진출을 가속화할 수 있다"
위 내용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이더리움의 머지 업그레이드는 기관 투자자들에게 이더리움이 채권, 상품 등 특정 금융상품과 비슷한 수익률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훨씬 친환경적으로 바뀌게 될 테니 다른 코인들과 가격적으로 디커플링이 심화 될 수 밖에 없다고 판단하도록 만들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이더리움의 가격이 더욱 안정성을 가지게 될 것이라는 생각을 갖게 합니다.(참고로 이더리움 머지 이후 투자자들은 이더리움 스테이킹을 통해 연간 10~15%의 수익률을 얻게 될 예정입니다.)
최근 가격이 급락한 이유
‘머지’ 업그레이드 전까지만 해도 공급량이 크게 줄어 이더리움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이 주를 이뤘습니다. 기존 이더리움은 총 발행량이 사실상 무제한이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에 취약하다는 평가가 있었는데, 업그레이드를 통해 공급량이 크게 줄어 수급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었습니다.
하지만 머지 업데이트이후 가격은 급락했고 많은 투자자분들이 불안해하고 계시죠. 하지만 전문가들은 현재 이더리움의 가격이 급락한것은 이더리움의 가치가 떨어지거나 빛이 바래서 그런것이 아니라 단지 선반영된 기대치로 인해 적정가 이상으로 급등했던것에 대한 최소한의 되돌림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충격으로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리스크 증가했기 때문에 거시경제의 하방 압력으로 인해 더욱 하락폭이 커졌다' 라는 평가입니다.
![[알트코인 분석] 이더리움 코인 전망 호재 악재 - 최근 가격이 급락한 이유 [알트코인 분석] 이더리움 코인 전망 호재 악재 - 최근 가격이 급락한 이유](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전문가들이 보는 전망
업계에서는 이더리움이 당분간은 고전을 면치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예측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투자 관점으로 볼때 앞으로 향후 10년간 가장 핵심적인 가치인 ‘친환경’을 모토로 방식을 바꿨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마치며
저의 주관적인 생각으로는 이더리움은 최소 2-3년 이상 투자한다고 가정했을 때 장기적인 투자처로 매우 적합하다고 판단됩니다.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트코인 분석] 에이브 코인 전망 호재 악재 (0) | 2022.10.04 |
---|---|
[알트코인 분석] 비트코인캐시 코인 전망 호재 악재 (0) | 2022.10.04 |
2022년 10월 코인 호재 정보 및 경제 주요 일정 (0) | 2022.09.30 |
[가상부동산] 어스2 시작하기 - 회원가입, 이중인증, 결제 (0) | 2022.09.27 |
[가상부동산] 더 샌드박스 시작하기(2) - 플랫폼 설치 (0) | 2022.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