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뉴스나 신문에서 이런 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우리는 양적완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양적완화 란 Quantitative Easing 줄여서 QE 라고도 부르며, 중앙은행이 장기금리 하락을 유도하기 위해 국채 등 자산을 사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자면 중앙은행이 시중으로부터 국채를 계속해서 사들이면 국채의 수요가 늘어나 가격이 오르게되고 이는 국채금리를 하락시키는 요인이 되겠죠. 즉 양적완화정책은 시중금리를 최대한 하락시켜서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시장에 돈을 풀어주는 정책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QE 는 시장에 유동성이 점차 커지도록 지향하는 정책이기에 대다수의 시장 참여자들에게는 주식/가상화폐/부동산 등 투자하기 좋은 시기를 만들어냅니다. 거기에 기본적인 자본 조달비용이 낮아지므로 다양한 사업군에서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아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기도 하죠.
양적완화의 단점
양적완화를 통해 경기를 활성화시키는데 무슨 단점이 있나 싶겠지만 '과유불급'이라는 말처럼 이 정책 또한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첫 번째 단점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킨다는 것! 최근 1-2년 사이에 가장 핫한 키워드가 되버린 '테이퍼링'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테이퍼링이란?
테이퍼링은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차 줄여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인플레이션이란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고, 모든 상품의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중앙은행에서 양적완화 정책을 통해 엄청난 양의 돈을 시장에 장기간 풀어주면 자연스럽게 물가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이게 왜 문제인지 모르겠다면 베네수엘라 라는 국가의 현 상황을 보면 이해가 바로 되실거에요.
위 이미지에 보이는 것처럼 우리의 일상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식재료 값조차도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든 단위까지 가격이 올라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물론 이 나라는 다른 모든것들도 말도 안되는 가격 수준까지 가버렸다는...)
이렇게 되어버리면 해당 국가의 화폐는 가치를 잃어버린 것이나 다름이 없고 결국 나라의 존망에까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이 되지 않도록 각 국가들은 테이퍼링을 통해 양적완화 정책으로 시장에 풀어줬던 돈을 어느정도 회수하며 과열된 투기 시장을 잠재우고, 고용 지수를 높이며 물가를 안정시키려고 노력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두 번째 단점
부채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 금리가 낮을 때 일반 시민들과 기업은 더 많은 대출을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대출 이자가 상대적으로 저렴해지다보니 당연한 현상인데, 여기서 문제는 테이퍼링의 과정을 거쳐 양적긴축(QT)단계까지 가버리게 되면 이자를 고정금리가 아닌 변동금리로 대출한 많은 사람들이 높아진 변동금리로 인해 파산을 하게 되는 등 큰 위기를 맞게 될 확률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죠.
양적긴축이란
중앙은행이 시장에 국채 매각 등과 같은 방법으로 풀었던 돈을 회수하는 정책입니다.(유동성 감소)
유동성이 줄어든 시장은 여러가지 현상을 보이게 되는데 우선 첫 번째로 눈에 띄는 영향은 위험자산의 폭락입니다. 사람들은 경기 침체가 올 수 있다는 불안감에 시달리게 되면 보통 가장 먼저 위험자산부터 처분하려고 하죠, 그로 인해 폭락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위험자산들부터 가격이 떨어지게 되고 비교적 안전한 투자인 부동산/주식 등도 가격이 하락하게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물론 이렇게만 보면 안좋은 것만 있는거같지만 이것보다 훨씬 중요하고 큰 장점들로 부정적인 부분을 상쇄할 수 있기에 저는 필요하다면 적정한 시기에 반드시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첫 번째 장점은 인플레이션 억제 효과입니다. 양적 긴축이 물가 상승을 잡아내고 경기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장점은 투기 시장에 있던 많은 사람들을 노동을 통해 돈을 버는 것의 가치를 다시 느끼게 해서 고용지수를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마치며
저도 다른 사람들처럼 주식과 코인에 투자를 하고 있는 평범한 개미투자자라서 차트 분석만 하는게 아니라 거시경제에도 항상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중입니다. 요즘같이 힘든장에 다들 잘 버티면서 열심히 공부해서 나중에 화끈한 불장이 돌아왔을 때 다들 기회를 잡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준의 금리인상과 러우전쟁에 대한 고찰 (2) | 2022.09.28 |
---|---|
베이지북이란? (0) | 2022.09.27 |
데드 캣 바운스란? (0) | 2022.09.27 |
베어마켓랠리란? (0) | 2022.09.27 |
댓글